[springboot] (작성중) 경합데이터 처리 테스트
Issue Executors 확인필요 ExecutorService Executors.newFixedThreadPool - @Synchronized 확인필요 동시 콜이 많은 매서드에 대해 @Syn...
Issue Executors 확인필요 ExecutorService Executors.newFixedThreadPool - @Synchronized 확인필요 동시 콜이 많은 매서드에 대해 @Syn...
Issue 플젝으로 시간 없어서 글을 제대로 못 쓰고 있음 까먹지 않게 흔적이라도 미리 남겨둠. 나중에 다시 정리 Kafka 및 카산드로 기동 시, 각각 Config 옵션에서 호스트 이름 별 다른 파일을 설정 Kafka: b...
Issue 플젝으로 시간 없어서 글을 제대로 못 쓰고 있음 까먹지 않게 흔적이라도 미리 남겨둠. 나중에 다시 정리 Spring boot 에서 @Transactional 을 실행 클래스의 내부에 걸면 동작 안함 -> AOP. 테스트...
Issue 플젝으로 시간 없어서 글을 제대로 못 쓰고 있음 까먹지 않게 흔적이라도 미리 남겨둠. 나중에 다시 정리
Issue Static 리소스가 Request method ‘GET’ not supported 발생 RequestMapping 된 주소 찾아도 원인 못 찾겠음 로그 바탕으로 RequestMappingInfoHandlerMapping.j...
Issue Setting beans which implemented(or extended) Action interface(class). Registered Actions bean for saving beans implemented(or ext...
Issue When I try to build project made by gradle wrapper in closed network, IntelliJ can’t do it. Environemnt ...
Functionality /usr/sh/su: Switches you completely to another user account. You inherit the new user’s environment,...
Issue when spring boot is boot, each beans are registred by sequentially. Normally spring boot load them each order by follow dependency inject...
Issue When I use both Actuator and Swagger in a project, I met below error message ERROR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
Purpose Split String by delimiter and save them to array. Then print each values. Solution string=“word1,word2,wo...
결론부터 말하자면 1) Bash쉘을 안쓰는데 ~/.bashrc에 적용 하면 오류 발생 2) 사용하는 쉘에 맞는 파일에 적용 필요(kshrc, zshrc 등)
결론부터 말하자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1) Bash쉘을 안쓰는데 ~/.bashrc에 적용 하면 오류 발생 2) 사용하는 쉘에 맞는 파일에 적용 필요(kshrc, zshrc 등)
Data class에 전체 파라미터가 들어간 생성자를 호출 -> 자바 파라미터 자릿수 오버 에러 Invalid methodparameters method attribute length in class file
결론부터 말하자면 1) JRUBY 설정 필요 (윈도우 사용자는 정신건강을 위해 WSL을 통한 우분투 사용 추천) 2) 환경변수 설정 필요
1.기본로직 끝 자리 숫자를 하나씩 꺼내온다(%10). 중간까지 꺼낸다(while(originNumber > revertedNumber)). 비교 값이 같을 경우 Palindrome(originNumber=...
코틀린에서 함수의 파라미터는 val, 즉 상수(불변) 값이다. 이렇게 만든 이유는 아래와 같다고 한다. 사용자들이 함수 파라미터를 pass by reference 로 혼동함(코틀린에서는 pass by reference 미지원, pass by value만 지원) 파라미터 값을...
1.기본로직 끝 자리 숫자부터 하나씩 꺼내온다(pop) 꺼내온 숫자를 맨 앞자리에 넣는다(push) 해당 과정을 반복하며, 정수 범위 초과 시 멈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기본형 타입: 8가지(boolean, byte, shrot, int, long, char, float, double), 기본값 O, Null 없음. Stack에 저장 참조형 타입: 기본형 타입 외의 나머지 전부. 기본값 없음. Null 존재, Heap 메모리...
결론부터 말하자면 단순 지역 변수 선언의 경우 스코프 범위가 적게 하도록 루프안에 선언. 루프 안에서 new class()등을 통한 객체 생성이 있을 경우 메모리 효율(GC효율)을 위해 루프 밖으로.